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4)
리스크관리(4) 6. 스탑로스(손절매) 매매에서 청산을 방지하는 툴은 딱 두 개가 있다 1. 리스크 관리 2. 스탑 로스 99%의 트레이더는 이 두가지를 지키지 않아서 청산당하고 파산하게 된다. 당신도 이 두가지를 지키지 않는 다면 반드시 실패하게 될 것이다 스탑로스 예시 무효화 구간에 스탑로스를 걸어라 차트가 다르다면 스탑 로스도 달라야한다 많은 트레이더들이 가지고 있는 착각이 스탑 로스를 특정 퍼센트로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5%에만 손절한다' 이런식으로 정하는데 이런건 안 좋은 생각이다. 스탑 로스는 기술적 분석으로 정해져야 하며 차트가 매번 다르므로 스탑 로스도 달라야 한다. 즉 스탑 로스 = 무효화구간(Invalidation level) 이다 모든 진입은 각각 기술적 분석으로 타당한 이유를 가지고..
리스크관리(3) 매매를 하기 전에 전제조건 3가지를 고려해야한다 이를 확인하지 않고 매매하는 것은 도박과 같다 1. 진입 신호 2. 스탑 로스 3. 목표가 그리고 이를통해 나온 4. 손익비를 고려해야한다 1. 진입 신호 (ENTRY TRIGGER) 포지션을 진입하는 것에 대한 이유다. 진입 신호는 여러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입 신호가 많을 수록 안전하고 높은 승률을 가진다. 2. 스탑 로스 (STOP LOSS) 내가 진입한 포지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서 일정 이상 손실이 발생했을 때 매매를 종료하는 것 표기된 구간에서는 기술적 분석으로의 진입의 이유가 사라지고 반대 방향으로 갈 확률이 높다. 3. 목표가 (TA,RGET) 이전 추세의 힘으로 갈 수 있는 가격대 또는 추세의 반전이 일어날 수 있는 구간이다...
리스크 관리(2) 승률: 대부분의 트레이더는 승률이 낮기에 리스크를 적게 잡아야한다 수학적으로 예를 들어 승률이 70% 정도로 높다고 치더라도 6번 연속으로 손실을 보는 때가 있다. 높은 리스크로 매매를 하면 돈삭제 버튼을 누르는 것이라는 건 역사적으로 증명되어 왔다 아래 표는 승률에 따라 트레이더가 반드시 겪게 될 연속 손실 횟수를 정리해놨다. 이제 승률 70%와 리 스크를 40%로 설정했다고 가정해보자. 6번의 손실로 파산한다. 성공적인 트레이더들의 승률이 40%대인것을 생각하면 놀라울 것이다. 손익비: 낮은 승률로도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아 수익을 내는 방법 선물 트레이더는 승률이 40% 정도이다. 그렇다. 대부분의 성공한 트레이더도 루저다 그러면 대부분의 매매를 틀리기만 하는데 어떻게 돈을 버는가? 물은 적은 마진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