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스크 관리(1) 돈을 잃지 않는 방법 FACT!: 트레이더의 90%는 돈을 잃는다 리스크 관리 소개 리스크 관리를 통해서 10%안에 드는 방법을 배워볼 것이다. 리스크 관리는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무시당하는 개념이다. 나는 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으면 모든 매매법은 쓸모없다고 생각한다. 90%의 트레이더가 리스크 관리 부족으로 돈을 잃는다고 했으니 이것의 중요함을 더 설명하지는 않겠다. 리스크 계산 방법 만악 리스크 관리를 수학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파산하게 될 것이다. 반드시 지 금부터 5% 법칙으로 최적의 포지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다. 한번의 매매에서 3-5%를 넘는 리스크를 지지 말아라. 나는 3%를 선호하고 5%는 공격적 기법이다. 이게 이상하게 들릴수도 있는데 좀더 자세히 이해해보.. 볼린져밴드는 무엇인가? 볼린져밴드의 이해와 설명 • 1960년대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가 개발한 기술적인 거래도구로 주식의 변동성 자체가 가변적이고, 일정하지 않다는 당시 시장상황에서 적합한 매매범위를 찾기 위해 만들어진 선 입니다. • 그래프의 모양과 추세를 보고 투자 여부 결정에 참고한다는 점에서 볼린저밴드는 기술적인 분석의 대표적인 도구로 평가됩니다. •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이에 따라 주식 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밴드, 하단밴드로 구성되며 이동평균선을 추세 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합니다. •볼린저밴드는 여기에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고, 가격 움직임이나 기타 지표들과 결합.. 기초중에 기초 가격이동평균선은 무엇인가? •1960년대 존 그랜빌이 수학의 이동평균선을 주식으로 가지고 오면서 이동평균선을 주식에서도 활용하게 된 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평균치를 연결한 선을 말합니다 •이동평균선 가격의 이상으로 거래가 되었다면 이익이 남는 상태가 되고, 이동평균선 이하에서 거래가 되었다면 손실을 보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5일 이동평균선, 10일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 등으로 말하는데 5일 이동평균선은 5일동안의 평균주가를, 10일 이동평균선은 10일동안의 평균주가를 이어놓은 선을 말한다. •20일 이동평균선은 2강에서 배울 볼리젼밴드 중심선과 같다 •가격이동평균선 종류에는 기본적으로 단순과 지수를 제일 많이 사용한다 •지지와 저항으로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이평선은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